소규모 사업장에서 일하거나 사업체를 운영하고 계신 분들이라면 사회보험료 부담이 결코 가볍지 않다는 걸 체감하고 계실 텐데요. 이러한 부담을 줄여주는 대표적인 제도가 바로 2025년 두루누리 지원금입니다.
[두루누리 사회보험료 지원]
🎯 두루누리 지원금이란?
두루누리 사회보험료 지원사업은 소규모 사업을 운영하는 사업주와 소속 근로자에게 사회보험료 일부를 지원(고용보험, 국민연금)해 주는 사업입니다. 국민연금과 고용보험에 새롭게 가입한 근로자와 해당 사업주를 대상으로 최대 80%까지 보험료를 덜어주는 혜택을 제공합니다.
📋 2025년 두루누리 지원금 조건 및 지원 대상
🏢 사업장 기준
- 상시 근로자 수 10명 미만 사업장
- 법인은 법인등록번호 단위, 개인은 사업자등록번호 단위로 규모 판단
- 지원 신청일이 속한 달의 직전 3개월 동안 근로자 수가 10명 미만
- 전년도 월 평균 근로자 수가 10명 미만
👨💼 근로자 기준
근로자 수가 10명 미만인 사업에 고용된 근로자 중 월평균보수가 270만원 미만인 신규가입 근로자와 그 사업주에게 80% 지원됩니다.
중요한 조건:
- 신규 가입자만 해당: 6개월간 고용보험과 국민연금의 자격취득 이력이 없는 신규 가입자
- 월평균 보수 270만원 미만 (2025년 기준)
- 최대 36개월까지 지원
❌ 지원 제외 대상
지원신청일이 속한 보험연도의 전년도 재산의 과세표준액 합계가 6억원 이상인 자, 지원신청일이 속한 보험연도의 전년도 종합소득이 4,300만원 이상인 자는 지원에서 제외됩니다.
💰 2025년 두루누리 지원금 혜택
지원 내용
- 고용보험과 국민연금 보험료의 80% 지원
- 최대 36개월까지 지원 (신규 및 기존 가입 기간 합산)
실제 지원 금액 (월평균 보수 270만원 기준)
🏢 사업주 지원금:
- 고용보험: 월 최대 24,840원 지원
- 국민연금: 월 최대 97,200원 지원
- 총 월 최대 122,040원 지원
👨💼 근로자 지원금:
- 고용보험: 월 최대 19,440원 지원
- 국민연금: 월 최대 97,200원 지원
- 총 월 최대 116,640원 지원
예를 들어, 월급이 230만원인 근로자라면 고용보험과 국민연금을 포함해 매달 약 21,600원만 실부담하면 되고, 사업주 역시 약 22,600원만 납부하면 됩니다.
📝 두루누리 지원금 신청방법
온라인 신청
**4대사회보험 정보연계센터 (www.4insure.or.kr)**를 통한 전자신청이 가장 편리합니다.
- 미가입 사업장: 사업장 업무 > 성립신고 (진행 시 '두루누리보험료지원' 체크)
- 기가입 사업장: 사업장 업무 > 두루누리보험료지원
서면 신청
사업장 소재지 관할 근로복지공단 또는 국민연금공단 지사에 방문, 우편, 팩스로 제출
필요 서류
- 사업자등록증 사본
- 근로계약서
- 급여명세서
- 보험료지원신청서
📞 문의처
- 국민연금 보험료 지원: 국민연금공단 (국번없이) 1355
- 고용보험료 지원: 근로복지공단 1588-0075
🔍 두루누리 지원금 조회 및 확인 방법
국민연금 지원금 조회
국민연금 전자민원 서비스 홈페이지에서 사업장관리번호를 입력하고 로그인한 후:
- 국민연금공단 홈페이지 (www.nps.or.kr) 접속
- 전자민원 > 사업장민원 클릭
- 사업장인증 > 인증서 로그인
- [사업장 보험료 지원내역 조회] 메뉴 선택
- 개인정보 수집 안내 동의 후 다음 화면 진행
- [가입자별 지원내역] 또는 [월별 지원내역] 조회
- 조회기간 선택 후 [조회] > [화면출력] 클릭하여 PDF 저장
고용보험 지원금 조회
고용·산재보험 토탈서비스 홈페이지에 로그인한 후:
- 고용·산재보험 토탈서비스 (total.kcomwel.or.kr) 접속
- 인증서 로그인
- [부과고지 보험료 조회] 클릭
- 사업장관리번호, 부과년도/월 입력 후 [조회]
- [사회보험료 지원금정보] 클릭
- 근로자별 보험료와 지원금 내역 팝업에서 [엑셀저장]
📱 모바일 앱 조회
'내곁에 국민연금' 앱을 통해서도 지원금 내역을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 두루누리 지원금 미지급 문제 해결방법
미지급 상황이란?
근로자 급여에서 원천징수는 되었는데 실제로 감면이 되지 않았거나, 감면된 금액만큼 급여로 환급되지 않은 경우를 말합니다.
🚨 두루누리 지원금 미지급 신고 방법
사업장에서 보험료 지원 신청을 하여 지원금을 받고 있으나, 급여에서 공제하지 않거나 미지급 상황이 발생한 경우:
신고 경로
- 국민연금공단 홈페이지 접속
- 가입지원·신고센터 > 두루누리 연금보험료지원금 미지급 신고 메뉴
- 모바일앱 '내곁에 국민연금'에서도 신고 가능
- 방문 신고: 관할 국민연금공단 지사
처리 절차
- 근로자 신고: 국민연금공단 민원서비스를 통해 직접 이의 제기
- 공단 조사: 조사 후 최대 5일 내에 정산 안내
- 사업장 지급 요구: 공단이 사업장에 지급 요구
- 미이행 시: 고발 예고 발송 → 형사조치
📞 미지급 관련 문의
- 국민연금공단: 국번없이 1355
- 근로복지공단: 1588-0075
💡 두루누리 지원금 운영 방식
지원금 지급 방식
두루누리 사회보험료 지원을 신청하면 사업주가 월별보험료를 법정기한 내에 납부하였는지를 확인하여 완납한 경우 그 다음 달 보험료에서 해당 월의 보험료 지원금을 뺀 나머지 금액을 고지하는 방법으로 지원됩니다.
즉, 별도로 입금되는 것이 아니라 다음 달 보험료에서 자동으로 차감되는 방식입니다.
주의사항
- 소급 지원 불가: 보험료 지원은 신청한 날이 속하는 달부터만 가능
- 조건 유지 필요: 근로자 수 증가나 급여 인상으로 기준 초과 시 다음 달부터 혜택 중단
- 법정기한 준수: 월별 보험료 완납, 보수총액 신고 등 법정기한 내 이행 필수
🌟 2025년 주요 변경사항
지원 대상 확대
- 월평균 보수 기준: 270만원 미만으로 상향 조정
- 외국인 근로자: 외국인근로자도 고용보험 피보험 자격을 취득한 경우 지원대상에 포함
- 예술인 및 특수형태 근로자: 별도 지원 경로 마련
지원 내용 강화
- 지원율: 사회보험료의 80% 지원 유지
- 지원기간: 최대 36개월까지 지원
- 지원 범위: 고용보험과 국민연금 동시 지원
📊 두루누리 지원금 계산 예시
월급 200만원 근로자의 경우
🏢 사업주 부담:
- 지원 전: 고용보험 23,000원 + 국민연금 90,000원 = 113,000원
- 지원 후: 고용보험 4,600원 + 국민연금 18,000원 = 22,600원
- 월 절약액: 90,400원
👨💼 근로자 부담:
- 지원 전: 고용보험 18,000원 + 국민연금 90,000원 = 108,000원
- 지원 후: 고용보험 3,600원 + 국민연금 18,000원 = 21,600원
- 월 절약액: 86,400원
🔄 지속적인 관리 요령
정기 점검사항
- 월별 지원금 반영 여부 확인
- 근로자 수 및 급여 변동 모니터링
- 법정기한 내 신고 의무 이행
- 지원 조건 지속 충족 여부 점검
효과적인 활용방법
- 신규 채용 시점에 맞춰 가입 고려
- 지원금 내역 정기 조회로 정확한 반영 확인
- 세무대리인에게 지원금 내역 제공하여 정확한 급여대장 작성
- 근로자와의 투명한 소통으로 신뢰 관계 구축
📞 도움이 필요할 때
상담 및 문의
- 두루누리 전용 사이트: http://insurancesupport.or.kr
- 4대보험 정보연계센터: www.4insure.or.kr
- 국민연금공단: 국번없이 1355
- 근로복지공단: 1588-0075
찾아가는 서비스
신청이 어려운 경우, 국민연금공단이나 고용노동부에서 찾아가는 서비스도 제공합니다. 상담 예약을 통해 직접 방문 신청도 도와주므로 적극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두루누리 지원금은 단순히 보험료를 줄여주는 것 이상의 의미가 있습니다. 근로자에게는 든든한 사회 안전망이 되고, 사업장에는 인건비 절감 효과를 가져다주는 상생의 제도입니다.
조건을 꼼꼼히 확인하고 올바르게 신청하여 2025년에도 두루누리 지원금의 혜택을 충분히 누리시기 바랍니다. 무엇보다 지원금이 제대로 반영되고 있는지 정기적으로 조회하고 확인하는 습관이 중요합니다.